소화기병센터
소화기병센터
소화기센터에서는 내과 질환 중 가장 많은 빈도를 차지하는 식도, 위, 십이지장, 대장, 간, 담도 및 췌장 등의
각종 질환과 우리나라 발생증가율 2위를 차지하는 대장암에 이르기까지 소화기와 관련된 질환을 다루고 있으며, 정확한 진단을 위해
위 십이지장 내시경, 대장 내시경, 내시경적 역행성 담도 및 췌관 조영술, 복강경 검사, 간조직 생검, 소화관 운동검사가 시술되고 있으며,
상 하부 위장관 출혈, 조기 위암, 위 용종 및 대장 용종, 담도 암, 췌 담관 결석 등의 질환에 각종 치료 내시경 시술을 병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우수한 의료진과 첨단내시경장비를 구비하여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위해 힘쓰고 있습니다.
각종 질환과 우리나라 발생증가율 2위를 차지하는 대장암에 이르기까지 소화기와 관련된 질환을 다루고 있으며, 정확한 진단을 위해
위 십이지장 내시경, 대장 내시경, 내시경적 역행성 담도 및 췌관 조영술, 복강경 검사, 간조직 생검, 소화관 운동검사가 시술되고 있으며,
상 하부 위장관 출혈, 조기 위암, 위 용종 및 대장 용종, 담도 암, 췌 담관 결석 등의 질환에 각종 치료 내시경 시술을 병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우수한 의료진과 첨단내시경장비를 구비하여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위해 힘쓰고 있습니다.
대장내시경
검사가
필요한 경우
검사가
필요한 경우
– 대변의 색이 검은색을 띠거나, 치질이 없는 상태에서 항문 출혈이 있는 경우
– 대장 조영술 상에서 이상 소견이 있는 경우
– 궤양성 대장염이나 크론씨 병 같은 염증성 장질환의 진단, 치료의 평가. 합병증 발생 여부 확인 위해
– 일반인 및 고위험군에서 대장암의 감시 및 스크리닝(screening)을 위해
– 원인 불명의 설사가 2~3개월 이상 있는 경우
– 조기 대장암과 용종(폴립:polyp)의 절제를 위해
– 대장 조영술 상에서 이상 소견이 있는 경우
– 궤양성 대장염이나 크론씨 병 같은 염증성 장질환의 진단, 치료의 평가. 합병증 발생 여부 확인 위해
– 일반인 및 고위험군에서 대장암의 감시 및 스크리닝(screening)을 위해
– 원인 불명의 설사가 2~3개월 이상 있는 경우
– 조기 대장암과 용종(폴립:polyp)의 절제를 위해
위내시경 검사가
필요한 경우
필요한 경우
– 상복부 불쾌감 혹은 통증, 신트림, 공복 시 복통, 속쓰림, 체중감소 등이 지속적으로 있는 경우
– 현기증, 간헐적인 흑색변 등의 증상이 있거나 피를 토하는 경우
– 증상이 없더라도 40세 이후에는 1년에 한번씩 정기적으로
– 현기증, 간헐적인 흑색변 등의 증상이 있거나 피를 토하는 경우
– 증상이 없더라도 40세 이후에는 1년에 한번씩 정기적으로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파일로리
헬리코박터 파일로리란 위 점막에 기생하는 세균으로 우리나라 성인의 경우 약 80~90% 정도가 이 균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세균은 위염과 위궤양. 십이지장 궤양을 일으키는 원인의 하나로 알려져 있으며 위암, 위의 림프종과도 연관되어 있습니다.
진단 – 위내시경을 통해 점막을 조직 검사하여 알 수 있습니다.
치료 – 이 세균이 존재한다고 하여 모두 치료하는 것은 아닙니다.
– 내시경상 위궤양 혹은 십이지장궤양이 있거나 조기 위암에서 내시경적 점막 절제술을 시행한 경우 등에 치료합니다.
이 세균은 위염과 위궤양. 십이지장 궤양을 일으키는 원인의 하나로 알려져 있으며 위암, 위의 림프종과도 연관되어 있습니다.
진단 – 위내시경을 통해 점막을 조직 검사하여 알 수 있습니다.
치료 – 이 세균이 존재한다고 하여 모두 치료하는 것은 아닙니다.
– 내시경상 위궤양 혹은 십이지장궤양이 있거나 조기 위암에서 내시경적 점막 절제술을 시행한 경우 등에 치료합니다.
의료진
송화영
천원석
박성진
박순도
윤도영
장휘영
송성오
김하연
송화영
소화기내과 전문의/센터장
[ 전문분야 ] 소화기암, 위·대장내시경, ESD, 역류성 식도염, 위염, 간염,
용종절제술, 위암, 식도암, 헬리코박터 파이로리, 간질환
용종절제술, 위암, 식도암, 헬리코박터 파이로리, 간질환
진료시간표
시간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오전 | O | O | 시술 | O | O | 문의 |
오후 | O | 시술 | O | X | 시술 |
약력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졸업
일산백병원 수련의
일산백병원 소화기내과 전임의
인제대 의과대학 외래교수
가천대 의과대학 외래교수
인하대 의과대학 외래교수
부산백병원장 표창장 수여
대한내과학회 정회원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정회원
대한소화기학회 정회원
WKBL 여자프로농구 도핑위원
현) 나은병원 소화기내과 센터장
논문 – 1.Risk factors of cryptogenic hepatocellular carcinoma with low body
mass index or no metabolic syndrome.
2. A Case of Primary Biliary Cirrhosis in Association with an Overlap
Syndrome of Systemic Sclerosis and Systemic Lupus Erythematosus.
3. An interim analysis of multicenter,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combination therapy for Lamivudine-resistant chronic hepatitis
B patients.
4. Antiviral effects of clevudine in hepatitis B-related cirrhosis.
의사명 | 전문과목 |
|
|||||||||||||||
송화영 | 소화기암, 위·대장내시경, ESD, 역류성 식도염, 위염, 간염, 용종절제술, 위암, 식도암, 헬리코박터 파이로리, 간질환 |
|
|||||||||||||||
천원석 | 위장관 질환, 위·대장내시경, 용종절제술, ESD, 소화질환, 위암, 식도암, 헬리코박터 파이로리, 간질환, 염증성장질환(크론병, 궤양성대장염) |
|
|||||||||||||||
박성진 | 위·대장내시경, 용종절제술, ESD, 간경변, 췌장염, 간염, 헬리코박터 파이로리, 담도 |
|
|||||||||||||||
박순도 | 대장암, 위암, 탈장, 소아탈장, 소아외과, 화상, 췌장, 담도, 담낭염,항문,하지정맥류 |
|
|||||||||||||||
윤도영 | 흉부, 복부, 신경계, 근골격계, 비뇨생식기, 유방 영상학 등의 X-ray, 초음파, CT,MRI판독 |
|
|||||||||||||||
장휘영 | 혈관계(투석, 다리혈관)인터벤션 시술, 비혈관계 인터벤션 시술, 혈관조영술, 초음파, CT, MRI, X-ray |
|
|||||||||||||||
송성오 | 초음파, CT, MRI, 근골격계, 신경계, 흉부/복부, 유방 영상학, X-ray |
|
|||||||||||||||
김하연 | 초음파, CT, MRI, 근골격계, 신경계, 흉부/복부, 유방 영상학, X-ray |
|